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graphql
- react atomic
- typescript 기초
- 타입 스크립트
- angular 최적화
- 리액트 구조
- graphql 개념
- 타입스크립트 기초
- 리액트 스토리북
- 리액트 환경설정
- 타입스크립트 매뉴얼
- angular optimization
- 프론트
- stroybook
- typescript manual
- 타입스크립트 tutorial
- typescript 정독
- 타입스크립트 튜토리얼
- typescript-react-nextjs
- 리액트 아토믹
- react storybook
- typescript 튜토리얼
- angular trackby
- graphql 설명서
- 타입스크립트
- 앵귤러 최적화
- react setting
- TypeScript
- 리액트 셋팅
- angular lazy loading
- Today
- Total
valleycho
Graphql(apollo-server) Queries and Mutations 본문
graphql을 사용법을 익히는게 주 목적이기 때문에 graphql의 메뉴얼을 보고 연습해보자.
아래 메뉴얼 참고
[graphql 메뉴얼] graphql.org/learn/queries/
GraphQL: A query language for APIs.
GraphQL provides a complete description of the data in your API, gives clients the power to ask for exactly what they need and nothing more, makes it easier to evolve APIs over time, and enables powerful developer tools.
graphql.org
- Fields
1. 메뉴얼을 참조하면 [참고 1]과 같은 결과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출력문구가 되기 위한 구성은 아래와 같다.
[참고 2]의 1, 2, 3의 대한 내용 설명
→ 1 : type schema 정의
→ 2 : hero의 값 저장
→ 3 : resolvers를 명시하여 쿼리 요청에 대한 전달 값 명시
위와 같이 설정하고 localhost:4000에서 query { hero { name} } 를 작성 후 재생표시를 클릭하면 결과 값이 똑같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메뉴얼의 두번째 쿼리문
- Arguments
3. 메뉴얼의 세번째 쿼리문
→ Query에서 human(id: ID!) 로 하여 ID 값은 무조건 받기로 되어있고 받은 인자는 resolvers의 human(args)에서 전달 받아 args.id인 값과 일치하는 값을 human에서 찾아서 출력!
4. 메뉴얼의 네번째 쿼리문
이부분은 여러번 시도 해봤지만 아직 잘 이해가 안된다. 다음에 다시 해보자...
- Aliases
5. 메뉴얼의 다섯번째 쿼리문
- Fragments
6. 메뉴얼의 여섯번째 쿼리문
메뉴얼을 하는 도중 너무 재미없다..
실제로 써보면서 익히도록 하는게 더 빨리 배울 것 같아 공부 방법을 바꾸기로 했다.
다음 챕터부터는 프론트(앵귤러-graphql) - 백(express-graphql) - DB와 연동하여 실제 사용 할 수 있는 실전용으로 해보자!
'graphql(그래프 큐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phql (프론트) Angular<->apollo-Client 환경설정 (0) | 2020.10.29 |
---|---|
Graphql(apollo-server) 환경 설정 (0) | 2020.10.19 |
express - prisma (0) | 2020.10.18 |
Prisma(프리즈마) (0) | 2020.10.17 |
GraphQL이란? (0) | 2020.10.11 |